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세라티 바이터보

덤프버전 : (♥ 0)

파일:1954 마세라티 로고.png
파일:external/www.motorstown.com/maserati-biturbo-e-03.jpg
BITURBO

1. 개요
2. 상세
2.1. 1세대 (AM331, 1982~1994)
3. 파생 모델
3.1. 222
3.2. 레이싱
3.3. 베를리나 (AM332, 1983~1994)
3.4. 스파이더 (AM333, 1984~1994)
3.5. 228 (AM334, 1986~1992)
3.6. 카리프 (AM339, 1988~1991)
3.7. 샤말 (AM339, 1990~1996)
3.8. 기블리 (AM336, 1992~1998)
3.9. 콰트로포르테 (AM337, 1994~2001)
4. 여담
5. 둘러보기


Maserati Biturbo

1. 개요[편집]


이탈리아의 자동차 제조사이자 당시 데 토마조 산하의 마세라티에서 생산했던 차량이다.


2. 상세[편집]



2.1. 1세대 (AM331, 1982~1994)[편집]


파일:1982 마세라티 바이터보_(1).jpg파일:1982 마세라티 바이터보_(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2 마세라티 바이터보_(3).jpg파일:1982 마세라티 바이터보_(4).jpg
바이터보
파일:1983 마세라티 바이터보 S_(1).jpg파일:1983 마세라티 바이터보 S_(2).jpg
바이터보 S

마세라티 최초의 양산형 차량이자 세계 최초로 트윈터보를 사용한 차량으로 상업적으로는 성공했으나[1] 품질과 신뢰성 문제 및 우려먹기[2]로 인하여 평론가, 차덕들에게 최악의 마세라티라는 오명을 얻는다.


3. 파생 모델[편집]



3.1. 222[편집]


파일:1988 마세라티 222_(1).jpg파일:1991 마세라티 222 4v_(1).jpg
222222 4v


3.2. 레이싱[편집]


파일:1991 마세라티 레이싱_(1).jpg파일:1991 마세라티 레이싱_(2).jpg
레이싱


3.3. 베를리나 (AM332, 1983~1994)[편집]


파일:1983 마세라티 바이터보 425_(1).jpg파일:1985 마세라티 420 S_(1).jpg
바이터보 425420 S
[ 펼치기 · 접기 ]
파일:1985 마세라티 바이터보 420_(1).jpg파일:1985 마세라티 바이터보 420_(2).jpg
바이터보 420
파일:1987 마세라티 420 Si_(1).jpg파일:1987 마세라티 430_(1).jpg
420 Si(1987~ 1989) 430
파일:1989 마세라티 430_(1).jpg파일:1990 마세라티 4.24v_(1).jpg
(1989~1991) 4304.24v
파일:1991 마세라티 430 4v_(1).jpg파일:1991 마세라티 430 4v_(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1 마세라티 430 4v_(3).jpg
바이터보 430 4v
바이터보 베를리나


3.4. 스파이더 (AM333, 1984~1994)[편집]


파일:1984 마세라티 바이터보 스파이더_(1).jpg파일:1984 마세라티 바이터보 스파이더_(2).jpg
바이터보 스파이더
파일:1989 마세라티 스파이더_(1).jpg파일:1991 마세라티 스파이더_(1).jpg
(1989~1990) 스파이더(1991~1994) 스파이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마세라티 스파이더#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228 (AM334, 1986~1992)[편집]


파일:1986 마세라티 228_(1).jpg파일:1986 마세라티 228_(2).jpg
228


3.6. 카리프 (AM339, 1988~1991)[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마세라티 카리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 샤말 (AM339, 1990~1996)[편집]


파일:1990 마세라티 샤말_(1).jpg파일:1990 마세라티 샤말_(2).jpg
[ 펼치기 · 접기 ]
파일:1990 마세라티 샤말_(3).jpg
샤말


3.8. 기블리 (AM336, 1992~1998)[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마세라티 기블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9. 콰트로포르테 (AM337, 1994~2001)[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편집]



탑기어에서는 아예 박살내버렸다.

스피드 그래퍼에서 1990년식 레드 색상의 샤말 모델이 히로인인 텐노즈 카구라의 차로 비중있게 나온다.

5.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1] 1980년대 초반 당시만 해도 아직 유효했던 마세라티의 고급 수제 스포츠카 브랜드 프리미엄에, 상급 차종인 콰트로포르테와 비슷한 외형, 고급 가죽과 목재로 만들어진 인테리어에 그러면서도 나름대로 납득할 만한 합리적인 가격 책정으로 초반에는 연간 5000대를 판매할 정도로 판매가 호조였으나 품질과 신뢰성 문제로 인하여 판매량이 곤두박질치기 시작했으며 이후에도 계속되는 우려먹기로 마세라티의 이미지에도 먹칠을 하고 말았다.[2] 그 당시에 마세라티 라인업을 바이터보(비투르보)의 파생 차종으로 아예 도배를 했으며 1998년 2세대 기블리가 단종되고, 2001년 4세대 콰트로포르테가 단종되면서 근 19년 만에 우려먹기는 종지부를 찍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22:42:31에 나무위키 마세라티 바이터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